KCI 등재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이지은 ( Jieun Lee ) , 김은영 ( Eunyoung Kim ) , 에이미왁홀스 ( Amy Wachholtz )
DOI 10.21509/KJYS.2016.10.23.10.29
UCI I410-ECN-0102-2017-560-000595659

본 연구는 라자로스와 포크만의 대처에 대한 인지 평가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삶의 만족도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전체 282명의 한국 대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했으며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가 사용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이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대학생들에게 있어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들이 논의되었다.

Lazarus and Folkman`s theory of cognitive appraisal of coping inspired the present study to test a mediation model examining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282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Perceived Stress Scal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the Self Efficacy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s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supported the mediation of secondary cognitive appraisal (i.e.,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cognitive appraisal (i.e., perceived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